순흥안씨양도공파묘역(順興安氏良度公派墓域)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산126-1 번지에 있는 순흥안씨양도공파묘역에는 순흥안씨 제3파대종회(順興安氏第三派大宗會) 및 양도공종회(良度公宗會) 사무실이 있으며 인터넷족보도 관리하고 있다.(www.shahn3.com)
이밖에 순흥안씨 제3파대종회에서는 매년 4년제 국내대학 입학 및 3학년 편입학자에게 축하금도 지급하고 있어 타 종회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순흥안씨 시조 안자미(安子美)로부터 8세이신 양도공 휘 경공(諱 景恭)의 21세손인 28세 일광(一光)아버지께서는 돌아가시기 전까지 순흥안씨 제3파대종회 자문위원으로 활동을 하셨으며 매년 양도공 기신제에 참석을 하셨다.
순흥안씨양도공파묘역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7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라에서 하사받은 사패지지(賜牌之地-공신에게 내려진 토지)로서 이 묘역에는 조선초기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순흥안씨 3파 8세손의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인 양도공(良度公) 안경공(安景恭)과 아들 손자에 이르는 3대에 걸친 묘역이다.
▲양도공 묘
▲양도공과 문숙공 묘
묘역은 크게 오른쪽 2기와 왼쪽 3기로 나뉜다.
오른쪽에는 양도공 안경공과 손자인 문숙공(文肅公) 안숭선(安崇善)의 묘가 위아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왼쪽에는 안경공의 손자인 소윤공(小尹公) 안숭신(安崇信), 안경공의 아들인 정숙공(靖肅公) 안순(安純)과 손자인 대사헌공(大司憲公) 안숭효(安崇孝)의 묘가 위에서 아래로 위치한다.
▲소윤공 묘 ▲정숙공 묘 ▲대사헌공 묘
묘역에는 양도공 부조묘가 있어 부조묘에 들어가면 대제학문(大提學門)이 있고 다음에 공신문(功臣門)이 있고, 사당에는 흥녕부원군 양도공 부조묘(興寧府院君 良度公 不祧廟)라는 큰 현판이 걸려있고 사당안에 위패(位牌)를 모시고 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 2품이상의 관직을 지낸 사람들에게 세워준 신도비 3기와 묘역에 불을 밝혀 사악한 기운을 쫓는 등인 장명등 3개, 문무관석 12개, 묘전비(墓前碑) 6개, 상석(床石) 5개, 사당(祠堂-양도공 부조묘) 1동 등이 조성되어 있다.
▲정숙공묘전비 ▲정숙공신도비 ▲문숙공신도비 ▲양도공신도비
안경공의 묘비는 높이 225㎝, 폭 56㎝로 윤유(尹惟)가 지었고, 안순의 묘비는 높이 226㎝, 폭 95. 6㎝로 변계량(卞季良)의 글이며, 안숭선의 비는 높이 244㎝, 폭 88㎝로 성삼문(成三問)의 글이다.
이 묘역에는 대제학 3분이 있는데 그 세분이 3대(代)에 걸쳐 대제학을 하고 또 그 묘소가 이렇게 한곳에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은 전국에서도 유례가 없다는데서 문화재로 지정이 되었다. 이 묘역은 그 유명한 무학대사가 잡아준 것이라고 하는데, 무학대사는 후손들이 크게 번성할 것을 예언했다 한다.
무덤들이 원형대로 잘 보존되어 있어서 조선 초기의 분묘의 형식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묘앞에 세워진 비석과 각종 석물등을 통해 묘제 변천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안 경공(安景恭) -
자(字)는 손보(遜甫)이며 1347년 충목왕(忠穆王) 3년 정해생(丁亥生)이다.
1365년 공민왕(恭愍王) 을사(乙巳)에 사마(司馬)하고 1376년 우왕(禑王) 2년 병진년 (丙辰 年)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추(推) 충익대(忠翊戴) 개국(開國) 원훈(元勳)으로 보국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영삼사(領三司)인 홍문관(弘文館),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 사(事)에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이 되셨으며 정일품(正一品)에 제수(除授) 되었다.
1421년 세종(世宗) 3년 정월(正月) 10일에 향년(享年) 75세로 돌아가셨으며 시호(諡號)가 양도(良度)라 하니 온양호락왈양(溫良好樂曰良)이요, 심능제의왈도(心能制義曰度)이다.
양 도공(良度公)이라 한다.
배(配)는 의정택주(懿靜宅主) 오천(烏川) 정씨(정氏)이며 부(父)는 정당문학(政堂文學)
문정공(文貞公)인 사도(思道)이며 조부(祖父)는 종부령(宗簿令)인 유(侑)이다.
- 안 순(安純) -
자(字)는 현지(顯之)이고 호(號)는 별서(別墅)로 기록되어 있으나 죽계(竹溪)이다.
1341년 공민왕(恭愍王) 20년 신해생(辛亥生)이다.
1388년에 사마(司馬)하고 1389년 공양왕(恭讓王) 원년(元年)인 기사년(己巳年)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벼슬이 올라 숭록대부(崇祿大夫)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수문전 대제학(大提學) 겸 호조판서(戶曹判書)를 두번이나 지내시고 치사(致仕)로 봉조하(奉朝賀) 하셨다. 정일품(正一品) 공신(功臣)이시다.
1440년 세종(世宗) 22년 11월28일 돌아가시니 향년(享年) 75세이며 시호(諡號)가 정숙(靖肅)이니 공기선언(恭己鮮言) 왈(曰) 정(靖)이요 집심결단(執心決斷)하니 숙(肅)이다.
정숙공(靖肅公)이라 한다.
배(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청주(淸州) 정씨(鄭氏)이며 부(父)는 정당문학(政堂文學) 문정공(文間公) 원재(圓齋) 추(樞)인바, 비문(碑文)에는 공권(公權)으로 썼고 조(祖)는 직제학(直提學) 추봉(追封)으로 시중(侍中) 청하부원군(淸河府院君)인 보(誧)요, 1435년 세종(世宗) 17년 2월에 돌아 가셨다.
표석(表石)과 신도비(神道碑)가 있으며 비문(碑文)은 경재(敬齋) 남수문(南秀文)이 지었다.
중간에 실비(失碑)되어 광무(光武) 시대에 감찰(監察) 기량(琦良)이 추명(追銘)하고 진사(進士) 긍렬(肯烈)이 글씨를 썼고 생원(生員) 석중(錫中)이 만들어 개수(改竪)하였다.
- 안 숭선(安崇善) -
자(字)는 중지(仲止)이고 호(號)는 옹재(雍齋)이다.
1392년 태조(太祖) 원년(元年) 임신생(壬申生)으로 1411년 태종(太宗) 11년 신묘년(辛卯年)에 사마(司馬)하고 감찰(監察) 이던중, 1420년 세종(世宗) 2년에 문과(文科)에 장원(壯元)하였다.
정헌대부(正憲大夫) 문종(文宗) 3월에 가자(加資)되어 의정부(議政府) 좌찬(左贊)에 병조판서(兵曹判書) 예문관(藝文館) 대제학(大提學)하였다. 정이품(正二品)이시다.
1452년 문종(文宗) 2년 임신년(壬申年) 4월15일 무인(戊寅)에 돌아가시니 향년(享年) 61세이다. 시호(諡號)가 문숙공(文肅公)이시다.
묘(墓)는 경기도 파주군 조리면 장곡(獐谷) 공능(恭陵) 화소(火巢) 동기동(東基洞) 묘좌(卯坐)에 예장(禮葬)하였으며 표석(表石)과 신도비(神道碑)가 있으니 문충공(文忠公) 매죽당(梅竹堂)인 성삼문(成三問)이 짓고 외손(外孫)인 김수학(金壽學)이 썼다.
1989년 3월13일 시흥 양도공(良度公) 조하(兆下)로 면봉(緬奉) 합폄(合窆)하였다.
배(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야로(冶爐)송씨(宋氏)이며 부(父)는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 천우(千祐)이고 조부(祖父)는 야성군(冶城君)인 길창(吉昌)이다.
- 안숭신(安崇信) -
1395년 태조 4년 을해생(乙亥生)이다.
봉정대부 인수부 소윤공(奉正大夫 仁壽府少尹公)이며 1441년 세종 23년 돌아가셨다.
묘(墓)는 실전(失傳)되다가 1965년 후손이 관악산 숲속에서 우연히 황폐한 무덤에 짤막한 비석이 욱어진 수풀 속에 있어 이끼를 잘 씻고 자세히 보니 소윤공(少尹公)의 비석(碑石)이었다.
배(配)는 영인 한산이씨(令人 韓山李氏)이며 부(父)는 목사(牧使) 숙야(叔野)이고,
조(祖)는 첨서밀직사사 인재 종학(簽書密直司事 麟齋 種學)이고 증조(曾祖)는 시중 문정공 목은 색(侍中 文靖公 牧隱 穡)이며 외조(外祖)는 판윤하 음봉 유인(判尹河 陰奉 由仁)이다. 묘(墓)는 합폄(合窆)이다.
- 안숭효(安崇孝) -
자(字)는 계충(季忠)이며 사마(司馬)되어 음사(蔭仕)하시니 호조 형조 공조(戶曹刑曹工曹)의 참판(參判)과 대사헌(大司憲)과 경기전라(京畿全羅)의 관찰사(觀察使)를 역임(歷任)하시고 가정대부 충청도 관찰사(嘉靖大夫忠淸道觀察使)겸 출척사(黜陟使)에이르시고 안천군(安川君)에 봉군(封君)되시다.
1460년 세조 6년에 임소(任所)에서 졸(卒)하시다.
배(配)는 정부인(貞夫人) 한산이씨(韓山李氏)이며 부(父)는 판서(判書)인 숙무(叔畝)이고 조(祖)는 첨서 밀직사사 인재(簽書密直司事麟齋)인 종학(種學)이며 증조(曾祖)는 시중 문정공(侍中文靖公)인 (牧隱穡)이고 외조(外祖)는 진안대군 휘방량(鎭安大君諱芳兩)이다.
묘(墓)는 정숙공조 계하 계장(靖肅公兆 階下 繼葬) 합폄(合窆)이다.
| ||
![]() |
순흥안씨양도공파묘군(順興安氏墓群) |
![]() |
|
[출처] 순흥안씨양도공파묘역|작성자 치워니
'초계최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계자(系子)와 양자(養子)란? (0) | 2016.01.14 |
---|---|
[스크랩] 초계 최씨 (草溪 崔氏) (0) | 2016.01.10 |
[스크랩] 과연 천하제일경 적벽이로구나 (0) | 2015.11.15 |
[스크랩] 호남 정신의 뿌리를 찾아서 9 , 신재 최산두 (0) | 2015.11.06 |
[스크랩] 광양이 낳은 호남의 지성 신재 최산두 (0) | 201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