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우리나라 성씨본관 순위
우리나라 성씨본관 순위
우리나라 성씨 본관 순위 통계를 보니 생각보다 그 수가 많고 다양하네요.
내 성씨 본관의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한번 살펴보세요~~
성씨본관 순위
성씨본관 순위
우리나라는 부계사회로 아버지의 성을 이어 받습니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성(본관)씨가 없었고 삼국시대때 일부계급만 성씨를 사용 하게 되었습니다.
고려시대 고려건국때 많은 수의 성씨(性氏)가 탄생하였고 조선시대 후기까지 백정,노비 등은 성씨가 없었는데 주인의 성을 따서 성씨를 가졌다고 합니다.물론 성씨(性氏) 형성과정에서 어머니의 성을 이어 받은 성씨도 있지만 대부분은 성씨(性氏)의 시조가 출생하여 크게 번성한곳, 왕족시대에 큰 공을 세워 임금으로 부터 봉해진 지역 이름을 따서 지은 성을 본관(本貫)이라 합니다.
본관(本貫)을 관향(貫鄕)이라고 부르는데 시조 이후 후손들은 항렬자에 맞쳐서 이름을 짖고 시조할아버지의 후손으로 연결성을 갖는 꿴 다는 뜻의 관(貫)자를 써고있다.
시조할아버지 부터 31대,32대,33대로 계속 자손이 내려 가는데 자손이 번성하여 후손이 많아 전국팔도에 흩어져 살게 될경우 나이가 많고,적음에 따라 관계없이 시조할아버지의 몇대손인지를 알수가 없다.
이것을 가장쉽게 해결하는것이 이름을 지을때 사용하는 "항렬"이다.
각 성씨 본관(문중)마다 "항렬자"를 만들어 자식이 태어나면 이름에 항렬(돌림자)을 넣어 이름을 짖는것이다.
이번에 우리나라 성씨(性氏)본관과 본관의 인구를 조사하여 발표를 하였는데...
아주 재미있습니다.
내 본관이 인구가 얼마고 우리나라 성씨(性氏)중에서 몇위에 있는지 알아보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출처] 우리나라 성씨(性氏)의
우선 우리나 성씨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진 성씨는 바로 "김씨, 이씨, 박씨"인데요. 1위부터 5위까지 이들 성씨가 다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6위부터는 최씨, 강씨, 윤씨, 한씨로 이어지는데 의외로 권씨니 신씨도 상당히 많이 있더군요. 하지만, 역시 410만 명에 달하는 김해 김씨는 정말 압권입니다. 그리고 3백만 명이 넘는 박씨도 그렇고요. 솔직히 김씨는 경주김씨까지 합치면 무려 580만 명에 달할 정도이지요. 이씨도 전주이씨랑 경주이씨를 합치면 4백만 명 정도가 되고요.
그러나 2013년 지금은 상당히 다를 수 있음을 꼭 인지하고 그저 재미로 보셨으면 합니다. 특히 휘귀성씨는 정말 특히 하다는 말 받게 들지 않는데 예를 들어 어금씨나 장곡씨 그리고 증씨, 즙씨, 개씨는 정말 특이한 성씨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나라 성씨 본관 순위 휘귀성씨
강전(岡田) 개(介) 교(橋) 군(君) 난(·) 내(奈) 뇌(雷) 뇌(賴) 누(樓) 단(端) 담(譚) 돈(敦) 망절(網切) 묘(苗) 비(丕) 삼(森) 소봉(小峰) 수(洙) 순(順) 십(십) 어금(魚金) 영(影) 영(榮) 운(芸) 장곡(長谷) 저(邸) 준(俊) 초(初) 초(肖) 춘(椿) 후(候) 후(后) 경(京) 빙(氷) 삼(杉) 엽(葉) 우(宇) 원(苑) 소(肖) 증(增) 증(曾) 즙(십)
참고로 조선시대 성씨별 문과,무과,상신,왕족 배출 현황입니다..
현재 인구 많은 순위:
1)김해김씨,2)밀양박씨,3)전주이씨,4)경주김씨,5)경주이씨
조선시대 문과 배출 순위:
1)전주이씨,2)안동권씨,3)파평윤씨,4)남양홍씨,5)안동김씨
인구와는 관련이 적은것으로 나타났읍니다.
[출처] 우리나라 성씨(性氏)의 종류와 본관(本貫)의 순위|작성자 류 지존
참고로,
일본의 성씨는...
위의 도표가 1위부터 30위까지의 일본 성씨인데..
성씨를 대충 보면 약간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성씨에 산(山:やま - 야마)、마을(村:むら - 무라)、나무(木:き - 키)、숲(林:はやし - 하야시)와 같이
자연에 관한 한자와
위(上:うえ - 우에)、안(中:なか- 나카)、아래(下:した - 시타)와
같은 위치에 관한 한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성씨 2위의 스즈키(鈴木:すずき)는 '방울나무' 라는 뜻이고
3위의 타카하시(高橋:たかはし)는 '높은 다리'
4위의 다나카(田中:たなか)는 '밭 안쪽'
9위의 코바야시(小林:こばやし)는 '작은 숲' 등이라는 뜻이다..
일본의 성씨의 뜻을 보면 조금 어색하게 느껴질 수가 있다..
그 이유는 일본의 성씨는 현대시대에 필요에 의해 만들어 졌기 때문이다.
그러면
미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10. Taylor(테일러)
양복쟁이라는 직업에서 유래된 영어 성씨
TAYLER, TAILOUR, TAYLOUR, TAILLEUR, TAILOR, TAYLOE, TYLER 등의 파생된 성씨가 존재
9. Moore(무어)
늪지대에 사는 사람이란 뜻에서 유래된 게일어에서 온 스코틀랜드 성씨
MORES, MORE, MOARS, MOOR, MOAR 등의 파생성씨 존재
8. Wilson(윌슨)
윌리엄의 아들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영어 성씨
WILLSON, WILSONE, WILLS 등의 파생성씨 존재
7. Miller(밀러)
방앗간 일꾼이라는 의미인 고대 독일어 뮐리나리에서 유래된 독일계 성씨
밀러는 영어식 표현이고 뮬러가 독일식 표현
MILLAR, MILLS, MULLAR, MAHLER, MUELLER, MOELLER 등의 파생성씨
6. Davis(데이비스)
데이빗의 아들이라는 뜻의 영어 성씨
DAVIES (Welsh), DAVID, DAVIDSON, DAVISON, DAVES, DAWSON, DAWES, DAY, DAKIN 등의 파생성씨
5. Brown(브라운)
독일어로 갈색을 의미하는 Braun 에서 온 성씨
Brown은 영어식 표현
BROWNE, BRAUN, BROUN, BRUEN, BRUUN, BRUAN, BRUN, BRUENE, BROHN 등의 파생성씨가 존재.
4. Jones (존스)
존의 아들이라는 의미에서 Johnson이랑 똑같은 성씨
웨일스계통의 성씨로 웨일스에서 가장 많은 성씨이기도 함
3. Williams (윌리엄스)
윌리엄의 아들이라는 의미로 Wilson과 같은 의미
역시 웨일스계통의 성씨로 웨일스에서 가장 흔한 성씨중 하나
2.Johnson(존슨)
존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영어 성씨
JOHNSTON, JONSON, JONSEN, JOHANSON, JOHNSTONE, JOHNSSON, JOHANNSAN, MACSHANE, MCSHANE, MCSEAIN 등의 파생성씨가 존재
1.Smith(스미스)
대장장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영어 성씨
독일계는 Schmidt(슈미트)라고 함
기원이 어디가 됬든 이민자들중 미국으로 이주후 자신의 성씨를
영어식으로 바꾼이들이 많았기에 성씨만으로 조상이 누군가를 알수는 없을거 같습니다.
출처는 요기 : http://genealogy.about.com/library/weekly/aa_common_surnames.htm
사족으로 영연방의 주요 성씨들
1) --Son 으로 끝나는 성씨..존슨,데이비슨,윌슨,폴슨 이런 성씨..
~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잉글랜드식 성씨
2)Mc---로 시작하는 성씨..맥도날드,맥과이어,맥길로이,맥카트니
역시 ~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스코틀랜드식 성씨
Mac은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의 아들을 뜻하는 접두어라고 하네요
3)O'--로 시작하는 성씨..오코널,오리어리,오브라이언 등
역시 ~의 손자라는 의미의 아일랜드식 성씨
아일랜드도 열시 켈트계이기 땜에 mc 성씨가 존재
4)--es,--s로 끝나는 성씨..존스,데이비스,윌리엄스 등
역시 ~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웨일스 성씨
전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