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양씨 종중 문서 보물725호
고려 공민왕 4년(1355)부터 조선 선조 24년(1591)까지의 고문서 7매이다. 양이시(楊以時)가 고려 공민왕 4년(1355) 과거에 합격했음을 알리는 합격증서인 홍패(紅牌)(1355)와 그의 아들 양수생(楊首生) 역시 우왕 2년(1376) 문과에 급제했음을 알리는 홍패(紅牌) 등 2건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양공준(楊公俊)이 조선 중종 3년(1508) 생원시에 급제했다는 교지(敎旨)와 다시 양공준(楊公俊)이 문과에 급제했다는 교지(敎旨), 생원인 양홍(楊洪)이 중종 35년(1540)에 문과에 합격했다는 교지(敎旨), 그리고 양시성(楊時省)이 선조 24년(1591)에 생원시에 급제했다는 교지(敎旨) 등의 합격증서가 있으며, 명종 14년(1559) 양홍(楊洪)을 청도군수(淸道郡守)로 임명한다는 발령장인 사령교지도 있다.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4년(1355), 성균양정재생(成均養正齋生) 양이시(楊以時)에게 내린 진사(進士)에 급제한 합격증서이다. 고시위원장(考試委員長)에 해당하는 지공거(知貢擧)는 좌우사사(左右司事)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이공수(李公遂)이고, 동지공거(同知貢擧)는 보문각대제학동지춘추관사(寶文閣大提學同知春秋館事) 상호군(上護軍) 안보(安輔)로 되어 있는데, 이는《고려사(高麗史)》 선거지공민왕조(選擧志恭愍王條)에「사년이월찬성사이공수(四年二月贊成事李公遂) 지공거밀직제학안보(知貢擧密直提學安輔) 동지공거(同知貢擧) 취진사(取進士) 사안을기등삼십삼인급제(賜安乙起等三十三人及第)」라고 한 기사(記事)와 일치한다.
양수생 급제 홍패 홍무9년 보물725-2호
고려(高麗) 우왕(禑王) 2년(1376)에 종사랑(從事郞) 장복직장(掌服直長) 양수생(楊首生)에게 내린 문과(文科) 합격증서이다. 지공거(知貢擧)는 윤성보리공신정당문학(輪誠輔理功臣政堂文學)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상호군(上護軍) 지서연사(知書筵事) 홍(洪)이며 동지공거(同知貢擧)는 봉동지밀직사사(奉同知密直司事)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상호군(上護軍) 동지서연사한(同知書筵事韓)이라 하였고, 성(姓) 아래에는 이름 대신 서압(署押)을 하였다.《고려사(高麗史)》선거지(選擧志) 신부이년조(辛부二年條)에「정당문학(政堂文學) 홍중인(洪仲寅) 지공거(知功擧) 지밀직한조(知密直韓條) 동지공거(同知貢擧) 취진사(取進士) 사정총등삼십삼인(賜鄭摠等三十三人) 명경사인급제(明經四人及第)」라는 기사(記事)로 홍(洪)과 한(韓)의 이름을 알 수 있다. 이시(以時)는 뒤에 집현전(集賢殿) 대제학(大提學) 지신사(知申事)를 지냈고, 수생(首生)은 이시(以時)의 아들인데 벼슬이 집현전(集賢殿)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다.
유학 양공준 생원 삼등 제59인입격자 정덕2년2월일 보물725-3호
성균관 생원 양공준 문과병과 제8인 급제 출신자 정덕15년9월25일 보물725-4호
생원 양홍 문과병과 제7인 급제 출신자 가정19년10월초9일 보물725-5호
양홍위 통훈대부 행 청도군수자 가정38년2월초10일 보물725-6호
유학 양시성 생원 삼등 제63인입격자 만력19년8월 보물725-7호
|
'초계최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출판인 친구의글......나와 제일친한친구 조각가 최기원에 이야기 (0) | 2016.05.26 |
---|---|
[스크랩] 남원양씨 종중문서 (0) | 2016.05.17 |
[스크랩] 한국의 표준 영정이란 (0) | 2016.04.29 |
[스크랩] 한국의 표준 영정이란 (0) | 2016.04.29 |
[스크랩] 계자(系子)와 양자(養子)란?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