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는 경앙(景仰)이며 스스로 신재(新齋)라 호하였다. 연산(燕山) 갑자년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계유년에 문과에 급제를 하였다. 그가 지은 강목부(綱目賦)는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었다. 대대로 광양(光陽)에 살았는데, 윤구(尹衢)와 유성춘(柳成春)과 더불어 나란히 이름이 나서, 사람들은 호남(湖南)의 3걸이라 일컬었다. 공(公)이 먼저 급제하여 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에 뽑혀 들어갔다. 족친들이 모두 군보(軍保)로서 여러 진(鎭)에서 수자리 살고 있었는데, 공은 사명을 받들고 고향에 돌아오면 반드시 술과 안주를 장만하여, 친히 살고 있는 영해(營廨 진영(鎭營)의 공청(公廳))에 가서 몸을 굽혀 수작(酬酢)을 하여 영달하였다 해서 종족을 감히 능멸하지 않았다. 사인(舍人) 벼슬로 있다가, 동복(同福)으로 귀양을 가서 나복산(蘿葍山) 아래 살면서 윤구(尹衢)한테 보내는 시에 이르기를
강길에 봄을 찾기가 늦었는데 / 江路尋春晩
그대를 생각하여 달 아래 거니네 / 思君步月時
해마다 산 시냇물 굽이에서 / 年年山澗曲
분수 따라 살아간다네 / 隨分有生涯
하였다. 일찍이 본현(本縣) 사마소(司馬所) 연회가 있다는 말을 듣고 공이 먼저 가 보았더니, 다른 모든 사마(司馬 진사(進士) 생원(生員))들은 아직 모이지 않았다. 공은 거기 마련해 둔 술을 다 마셔버리고 돌아왔다. 지키는 자가 죄를 뒤집어 쓸까봐 두려워하므로, 공은 감나무 잎을 따서 시를 적어 놓기를
오디는 청홍색으로 물들고 감나무 잎사귀는 살쪄 / 桑椹靑紅柹葉肥
작은 후원 풍물이 꽃답고 향기롭네 / 小園風物屬芳菲
사마소의 술단지에 술이 다한 연유를 알고자 하거든 / 欲知司馬樽中盡
선생이 취한 후 돌아가는 것을 보소 / 請看先生醉後歸
하였다.
[출처] 최산두(崔山斗) / 해동잡록 1 본조(本朝)|작성자 반딧불이
'초계최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계 최씨 자료 (0) | 2013.05.20 |
---|---|
[스크랩] 적벽에 새긴 도학의 꿈, 신재 최산두 (0) | 2013.05.20 |
[스크랩] [경북 영천] 노계 박인로와 도계서원 (0) | 2013.04.20 |
[스크랩] “정치·권력 상관없이 사실 근거해 현대사 연구해야” (0) | 2013.03.29 |
[스크랩] 도원서원 (0) | 2013.03.20 |